육아휴직 급여 계산기 활용법과 월 최대 금액·세후 금액 안내
📋 목차
육아휴직 급여 계산기는 내 통상임금과 휴직 개시일을 입력하면 월 예상 급여(세전)를 빠르게 보여줘요. 여기에 간단한 원천징수 추정만 더하면 세후 실수령액도 대략 계산할 수 있어요.🙂
제가 생각했을 때 가장 헷갈리는 포인트는 ‘상·하한 적용’과 ‘세후 금액’이에요. 아래 순서대로 차근차근 따라오면 누구나 3분 안에 내 금액을 뽑아낼 수 있어요.⌛
🖱️ 육아휴직 급여 계산기 활용법
1) ‘통상임금(월)’과 ‘휴직 개시일’을 준비해요. 통상임금은 정기적·일률적으로 지급되는 급여(기본급, 고정수당 등) 기준이에요.
2) 온라인 계산기(고용보험/민간 툴)에 월 통상임금 입력 → ‘육아휴직 급여(세전)’가 자동 산출돼요.
3) 세후 금액은 산출된 세전 금액에서 ‘간이세액표 기준 원천징수세액 + 지방소득세(그 10%)’를 빼서 추정해요.
4) 첫 1~2회는 심사·보완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어요. 이후 월 주기는 비교적 일정해요.
🧩 계산 공식과 지급 기준(상·하한)
기본 산식(세전): 지급액 = 최소(통상임금 × 80%, 상한액) 적용, 단 하한액 미만이면 하한액
2025년 안내(세전 기준): 상한액 월 1,500,000원 / 하한액 월 700,000원
예: 통상임금 250만 원 → 250만 × 80% = 200만 > 상한 150만 ⇒ 월 150만(세전)
예: 통상임금 160만 원 → 160만 × 80% = 128만 ⇒ 월 128만(세전)
🏔️ 월 최대 금액·최소 금액 한눈에 보기
월 최대(세전): 1,500,000원
월 최소(세전): 700,000원
통상임금이 높을수록 ‘80% 규칙’에 따라 커지지만, 상한에서 막혀요. 반대로 낮아도 하한으로 바닥을 받쳐줘요.
※ 맞돌봄(부모 동시 사용) 등 정책형 가산은 개별 요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 세후(실수령) 금액 계산 가이드
육아휴직 급여는 과세대상이라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따라 원천징수 후 지급돼요. 간이세액(국세) + 지방소득세(간이세액의 10%)가 빠진 금액이 실수령액이에요.
간편 추정법(러프): 세전 금액 × (98%~99%) 사이로 보는 분도 많지만, 인적공제·부양가족 등에 따라 달라요.
정확한 확인법: 지급월의 ‘급여(지급) 내역서’ 또는 고용보험 개인서비스에서 원천징수 내역을 확인해요.
연말정산 시 일부 환급/추가납부가 발생할 수 있어요.
📊 예시 시뮬레이션 표
통상임금(월) | 세전 계산(80%) | 상·하한 적용 | 세전 지급액 | 세후 추정* |
---|---|---|---|---|
1,500,000원 | 1,200,000원 | 하한/상한 無 | 1,200,000원 | 약 1,176,000~1,188,000원 |
2,000,000원 | 1,600,000원 | 상한 적용 | 1,500,000원 | 약 1,470,000~1,485,000원 |
2,500,000원 | 2,000,000원 | 상한 적용 | 1,500,000원 | 약 1,470,000~1,485,000원 |
1,000,000원 | 800,000원 | 하한/상한 無 | 800,000원 | 약 784,000~792,000원 |
800,000원 | 640,000원 | 하한 적용 | 700,000원 | 약 693,000~697,000원 |
*세후 추정은 일반적 범위를 예시로 제시한 값이에요(간이세액·부양가족 수 등에 따라 달라져요).
✅ 정확도 높이는 팁
① 통상임금 산정은 회사 인사·급여팀 확인값을 사용해요.
② 계산기에서 ‘상·하한 자동 적용’ 옵션이 있는지 체크해요.
③ 세후 추정은 보수적으로(세전의 98~99%) 잡고, 실제는 지급내역서로 확정해요.
④ 첫 1~2회 지급은 지연 가능성이 있어 생활비 플랜을 여유 있게 세워요.
❓ FAQ
Q1. 통상임금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A1. 급여명세서·취업규칙 기준의 기본급+고정수당 등이에요. 인사·급여팀 확인값이 가장 정확해요.
Q2. 상·하한은 자동으로 계산기에 반영되나요?
A2. 대부분의 계산기는 반영하지만, 일부 민간 툴은 직접 체크가 필요해요.
Q3. 세후 금액이 매달 달라질 수도 있나요?
A3. 네. 간이세액표·부양가족·연말정산 반영 등에 따라 월별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Q4. 맞벌이 부부 동시 육아휴직이면 더 받나요?
A4. 동시 사용 가산 등 정책형 지원이 있을 수 있지만, 적용 여부·금액은 개인 조건에 따라 달라져요.
Q5. 세금이 너무 많이 빠진 것 같아요. 정상인가요?
A5. 간이세액은 추정치라 연말정산에서 조정돼요. 지급내역서의 원천징수 항목을 먼저 확인해 보세요.
Q6. 하한(70만 원)보다 적게 나오는 경우도 있나요?
A6. 세전 기준으로는 하한을 보장해요. 다만 세후로는 소액의 원천징수 때문에 70만 원 미만 수령 가능성이 있어요.
Q7. 첫 3개월 상향 지원은 자동인가요?
A7. 적용 요건이 있으니 고용보험 안내와 고용센터에 확인해요. 계산기도 옵션을 제공할 수 있어요.
Q8. 민간 계산기 vs. 고용보험 계산기 무엇이 정확하나요?
A8. 고용보험 공식 기준이 가장 신뢰도 높아요. 민간 계산기는 참고용으로 보세요.
📝 면책 조항
본 안내는 2025년 일반 기준을 바탕으로 한 정보예요. 상·하한, 가산 정책, 원천징수 방식은 제도 변경·개인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실제 지급액은 고용보험 지급결정 통지서·지급내역서를 기준으로 확인해 주세요.